논문검색 Korea Association for Drama / Theatre and Education

pISSN: 2234-6848 / eISSN: 2733-4899

교육연극학, Vol.15 no.2 (2023)
pp.41~56

DOI : 10.31342/JKADTE.2023.15.2.3

- 교육과정안에서 탐색하는 교육연극의 방향성 고찰 -

권경희

(성남 탄천초등학교)

2015 개정교육과정 시행으로 교육연극이 학교현장에 안착될 것을 기대했다. 교육연극의 저변확대에 긍 정적인 기여도 하였지만, 연극과 수업을 분리시키는 현상도 수반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2022 개 정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교육연극의 위상을 살펴보고, 교육연극을 일상의 교실수업으로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에서 교육연극의 확장 가능성을 두 가지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첫째, 교육연극을 국어과 연극단원 성취기준에 국한하지 말고, 타교과의 성취기준과 연계하는 것이다. 내면의 성찰, 대인관계, 사회적 이슈, 기후환경문제 등은 도덕과와 사회과의 주요한 성취기준이며, 이는 연극의 극적체험을 통해 학습효과를 고양시킬 수 있다. 둘째, 교과별로 분절된 학습주제를 교육연극으로 하는 수업재구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연극수업은 교과를 연계하여 학습주제를 재구성한 프로젝트수업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연극은 교육과정상의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연극단원이라는 외형적인 제약에 벗어나야 한다. 둘째. 일반교과의 학습주제와 연결망을 구축해야 한다. 극적체험이 문 화예술로서 의미있는 활동인 만큼 학생들은 여러 가지 학습주제에서 교육연극을 접할 수 있도록 수업을 재구성해야 한다. 셋째, 교육연극은 연극단원으로 연극의 기법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상황을 상 상하고, 공감하고 그리고 몸으로 표현하는 교실 수업으로 뿌리내려야 한다. 넷째, 교육연극의 지평은 지 자체 예술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전문가와의 협력수업으로 넓혀갈 수 있다.

A Study on Explor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Drama in the Curriculum

Koung Hee, Kw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drama through an analysis of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a in 2015 and 2022. It aims to explore ways to expand educational drama into classroom teaching. The study proposes two directions for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drama in school. First, it suggests that educational drama should not be confined to achievement criteria with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but should be linked to the achievement criteria of other subjects as well. Second, the study proposes integrating and restructuring learning topics from various subjects into educational drama.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drama should break away from the formal constraints of achievement criteria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based theater units. Second, Building connections with learning topics in general subjects is essential. Since dramatic experiences are meaningful cultural activities, students should encounter educational drama in various learning topics through the restructuring of lessons. Third, Educational drama should not be limited to learning dramatic techniques but should be rooted in classroom teaching that encourages students to imagine, empathize, and express through their bodies.

다운로드 목록으로 바로가기